본문 바로가기

IT Study

[Python] Pandas 03 - Dataframe Pandas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인 Dataframe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Pandas DataFrame: DataFrame의 구조: DataFrame은 2차원의 테이블 구조를 가지며, 각 열은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DataFrame은 열(column)과 행(row)으로 구성됩니다. 각 열은 열 이름을 가지고 있고, 각 행은 인덱스로 식별됩니다. 생성: DataFrame은 주로 Python의 딕셔너리 형태로부터 생성됩니다. 또한 CSV 파일, Excel 파일, 데이터베이스 쿼리 결과 등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불러와 DataFrame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기능: 데이터 읽기 및 쓰기: 다양한 데이터 형식에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더보기
[Python] Pandas 02 - 기초 문법 라이브러리 불러오기: Panda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불러옵니다: import pandas as pd 데이터 구조 생성: Pandas에서는 Series와 DataFrame이라는 두 가지 주요 데이터 구조를 사용합니다. Series는 1차원 배열로, DataFrame은 2차원 데이터 테이블입니다. Series: 1차원 배열 data = pd.Series([0.25, 0.5, 0.75, 1.0]) DataFrame: 2차원 배열 data = {'Name': ['John', 'Anna', 'Peter', 'Linda'], 'Age': [25, 35, 45, 55]} df = pd.DataFrame(data) 데이터 불러오기: 외부 데이터를 불러올 때는 read_csv(), read_exce.. 더보기
[Python] Pandas 01 - Pandas란? Pandas는 파이썬에서 데이터 조작과 분석을 위한 강력한 라이브러리입니다. 주로 표 형태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 사용되며, 데이터를 읽고 쓰고, 정제하고, 변환하고, 집계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지원합니다. Pandas는 NumPy를 기반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과 도구를 제공합니다. Pandas의 주요 기능과 특징 DataFrame 및 Series: Pandas의 핵심 데이터 구조는 DataFrame과 Series입니다. DataFrame은 엑셀 스프레드시트와 유사한 2차원 데이터 테이블을 나타내며, Series는 1차원 배열을 나타냅니다.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 Pandas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지원하며, CSV, Excel, JSON, SQL, HTML 등 다양한.. 더보기
MLOps란? MLOps라는 용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AI, 머신러닝, 딥러닝 등의 용어가 화두가 되었고, 모든 곳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MLOps란 또 무슨 용어인가 알아봅시다. MLOps의 개념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니며 DevOps라는 개발 방법론에서 파생된 단어입니다. Development의 Dev에서 ML로 변환해서 적용된 것입니다. 기존에 Machine Learning 개발자들이 개별적으로 복잡하게 데이터 수집/가공, 모델 개발/학습, 배포 등의 복잡한 작업들을 표준화하고 간소화하여 자동화 되어 운영되도록 하는것입니다. Machine Learning 모델을 개발하는 것 뿐만이 아닌 ML 모델을 개발하고,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성하여 모델을 학습하고 배포하고 모니터링는 전 과정에 대한 .. 더보기
Node.js 프론트엔드에서 가장 중요한 툴 중에 하나인 Node.js 실제로는 하나의 툴이라기 보단 JavaScript 런타임 환경을 제공해주는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 JavaScript의 활용이 브라우저를 넘어서 서버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환경이고 보면 된다. 이와같이, Node.js는 JavaScript의 활용 범위를 크게 확대하고 확산시켰다. "JavaScript everywhere"라는 패러다임을 표방하는 Node.js의 방향을 지향점을 알 수 있다. "JavaScript everywhere" - Node.js Node.js is an open-source, cross-platform JavaScript runtime environment. Node.js의 등장으로 자바스크립트로 백엔드 개발까지.. 더보기
OSI 7 계층 모델 OSI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의 개념을 설명할 때 빠질수 없는 모델이다. 실제 물리적인 표준 모델이 아닌 개념적인 참조 모델이다. 복잡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과정과 구조를 7계의 계층으로 나누어서 각 계층별로 일어나는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인 모델이다. 전체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였고 계층과 단계단계별로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는지 개념적으로 알려준다. 계층 계층명 단위(PDU) 대표장비 설명 7 Application Layer Data L7 Switch, 방화벽 단말기의 사용자가 직접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6 Presentation Layer Data 데이터의 형태를 압축, 암호화, 복호화를 한다. 5 Session Layer Data L4 Switch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경.. 더보기
네트워크와 인터넷 발전의 역사 네트워크(Network)는 컴퓨터간 연결을 통해서 데이터와 자원을 서로 공유할 수 있게 해주고 있으며, 현대사회의 컴퓨팅 및 인터넷 환경에서의 필수 요소 이다. 이러한 네트워크가 최초로 계발되어 발전하게된 역사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네트워크 기술의 시작은 우리 냉전시대의 군사적 목적과 관련이 있다. 1957년 소련이 세계 최초로 저궤도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발사에 성공한 것에 자극을 받은 미국은 다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발판을 마련해야 했다. 이를 위해 ARPA (Advanced Resarch Projects Agency; 현재 DARPA)라는 연구 기구를 설치하였고, 국방부는 연구 작업을 위해 국방부와 대학교, 연구소들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를 위해 1966년 .. 더보기
AWS IAM - 사용자, 그룹, 역할, 정책 AWS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은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 이다. 어떤 서비스, 시스템 이든 아무나에게 오픈할 수 는 없다. 특히나 AWS의 콘솔 접근의 경우 시스템에 대한 막대한 권한을 갖을 수 있기 때문에 등록된 사용자의 접근과 사용자 별 권한에 따른 접근 제어는 필수적인 사항이다. AWS IAM은 AWS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러한 사용자 관리와 권한 관리를 해주는 서비스다. 최초에 생성하는 root 계정을 제외하고 이외에 AWS 서비스들을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IAM을 통해 사용자를 생성하여야 한다. 기본적으로 초기에 이메일로 생성한 root 사용자의 경우 모든 권한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작업을 진행시 .. 더보기